체언 + 조사
이: 주격 조사, 보격 조사, 보조사
을: 목적격 조사
에: 부사격 조사
도: 보조사
만: 보조사
 떡이[떠기]
 떡을[떠글]
 떡에[떠게]
 떡도[떡또]
 떡만[떵만]
 손이[소니]
 손을[소늘]
 손에[소네]
 손도[손도]
 손만[솜만]
 팔이[파리]
 팔을[파를]
 팔에[파레]
 팔도[팔또]
 팔만[팔만]
 밤이[바미]
 밤을[바믈]
 밤에[바메]
 밤도[밤도]
 밤만[밤만]
 집이[지비]
 집을[지블]
 집에[지베]
 집도[집또]
 집만[짐만]
 옷이[오시]
 옷을[오슬]
 옷에[오세]
 옷도[옫또]
 옷만[온만]
 콩이[콩이]
 콩을[콩을]
 콩에[콩에]
 콩도[콩도]
 콩만[콩만]
 낮이[나지]
 낮을[나즐]
 낮에[나제]
 낮도[낟또]
 낮만[난만]
 꽃이[꼬치]
 꽃을[꼬츨]
 꽃에[꼬체]
 꽃도[꼳또]
 꽃만[꼰만]
 밭이[바치]: 표·발 17항 "구개음화"
 밭을[바틀]: 표·발 13항 "연음"
 밭에[바테]: 표·발 13항 "연음"
 밭도[받또]: 표·발 23항 "경음화" 음·끝 후 경음(된소리) [받도 → 받또]
 밭만[반만]: 표·발 18항 "비음화" 음·끝 후 비음 [받만 → 반만]
※ 굳히다[구치다]: 축약 후 구개음화 [구티다 → 구치다]
 앞이[아피]
 앞을[아플]
 앞에[아페]
 앞도[압또]
 앞만[암만]
 밖이[바끼]
 밖을[바끌]
 밖에[바께]
 밖도[박또]: 표·발 23항 "받침 ‘ㄱ(ㄲ, ㅋ, ㄳ, ㄺ), ㄷ(ㅅ, ㅆ, ㅈ, ㅊ, ㅌ), ㅂ(ㅍ, ㄼ, ㄿ, ㅄ)’ 뒤에 연결되는 ‘ㄱ, ㄷ, ㅂ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"
 밖만[방만]
 넋이[넉씨]: 표·발 14항 "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,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,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.(이 경우, ‘ㅅ’은 된소리로 발음함.)"
 넋을[넉쓸]: 표·발 14항
 넋에[넉쎄]: 표·발 14항
 넋도[넉또]
 넋만[넝만]
 흙이[흘기]
 흙을[흘글]
 흙에[흘게]
 흙도[흑또]
 흙만[흥만]
 삶이[살:미]
 삶을[살:믈]
 삶에[살:메]
 삶도[삼:도]: 표·발 24항 "어간 받침 ‘ㄴ(ㄵ), ㅁ(ㄻ)’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‘ㄱ, ㄷ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"
 삶만[삼:만]
 여덟이[여덜비]
 여덟을[여덜블]
 여덟에[여덜베]
 여덟도[여덜도]: 표·발 25항 "어간 받침 ‘ㄼ, ㄾ’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‘ㄱ, ㄷ, ㅅ, ㅈ’은 된소리로 발음한다."
 여덟만[여덜만]
 곬이[골씨]: 표·발 14항
 곬을[골쓸]: 표·발 14항
 곬에[골쎄]: 표·발 14항
 곬도[골도]
 곬만[골만]
 값이[갑씨]: 표·발 14항
 값을[갑쓸]: 표·발 14항
 값에[갑쎄]: 표·발 14항
 값도[갑또]
 값만[감만]
※ 궁금한 거 있으면 톡해~ ^^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