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eat. 막둥이에게...


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.

1.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. (순우리말 + 순우리말)


(1)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

고랫재 (고래+재) [고래/고랟]: 방고래에 모여 쌓인 재.


고래 = 방()고래: 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는,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길.

귓밥 (귀+밥) [귀/귇]: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(=귓불).


나룻배 (나루+배) [나루/나룯]: 나루와 나루 사이를 오가며 사람이나 짐 따위를 실어 나르는 작은 배.


나뭇가지 (나무+가지) [나무지/나묻지]: 나무의 줄기에서 뻗어 나는 가지.


냇가 (내+가) [내ː/낻ː]: 냇물의 가장자리.


댓가지 (대+가지) [대지/댇지]: 대나무의 가지.


뒷갈망 (뒤+갈망) [뒤ː망/뒫ː망]: 일의 뒤끝을 맡아서 처리함. (뒷갈망 = 뒷감당)


cf) 뒷감당 (뒤+감당:堪當) [뒤ː깜당/뒫ː깜당]


2-(1) / 2. (순우리말 + 한자어) (1)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

맷돌 (매+돌) [매/맫]: 곡식을 가는 데 쓰는 기구.


머릿기름 (머리+기름) [머리름/머릳름]: 머리털에 바르는 기름.


모깃불 (모기+불) [모ː기/모ː긷]: 모기를 쫓기 위하여 풀 따위를 태워 연기를 내는 불.


못자리 (모+자리) [모리/몯리]: 볍씨를 뿌리어 모를 기르는 곳.


바닷가 (바다+가) [바다/바닫]: 바닷물과 땅이 서로 닿은 곳이나 그 근처.


뱃길 (배+길) [배/밷]: 배가 다니는 길.


볏가리 (벼+가리) [벼리/볃리]: 벼를 베어서 가려 놓거나 볏단을 차곡차곡 쌓은 더미.


볏가리 (벼+가리) [벼리/볃리]: 음력 정월 보름날 아침에 경상도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.


부싯돌 (부시+돌) [부시/부싣]: 부시로 쳐서 불을 일으키는 데 쓰는 석영(石英)의 하나.


선짓국 (선지+국) [선지/선짇]: 선지를 넣고 끓인 국.


쇳조각 (쇠+조각) [쇠각/쉗각]: 쇠붙이의 조각.


아랫집 (아래+집) [아래/아랟]: 아래쪽에 이웃하여 있거나 지대가 낮은 곳에 있는 집.


우렁잇속 (우렁이+속) [우렁이/우렁읻]: 내용이 복잡하여 헤아리기 어려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

잇자국 (이+자국) [이국/읻국]: 이로 물었던(물렸던) 자국.


잿더미 (재+더미) [재미/잳미]: 재가 쌓인 더미.


조갯살 (조개+살) [조개/조갣]: 조개의 살.


찻집 (차+집) [차/찯]: 사람들이 이야기를 나누거나 쉴 수 있도록 꾸며 놓고 차나 음료 따위를 파는 곳.


쳇바퀴 (체+바퀴) [체퀴/첻퀴]: 체의 몸이 되는 부분


킷값 (키+값) [키/킫]: 키에 알맞게 하는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.


cf) 외래어의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. 그러기에


"키(key) + 값"은 '킷값'이 아니고 '키값'으로, 피잣값(X) 피자값(O), 피잣집(X) 피자집(O)으로 등.

핏대 (피+대) [피/핃]: 큰 혈관.


햇볕 (해+볕) [해/핻]: 해가 내리쬐는 기운.


혓바늘 (혀+바늘) [혀늘/혇늘]: 혓바닥에 좁쌀알같이 돋아 오르는 붉은 살.


    


(2) 뒷말의 첫소리 ‘ㄴ, ㅁ’ 앞에서 ‘ㄴ’ 소리가 덧나는 것

멧나물 (메+나물) [나물]: 산나물.


메: 산의 옛말.

아랫니 (아래+이) [아니]: 아랫잇몸에 난 이.


텃마당 (터+마당) [마당]: 타작할 때에 공동으로 쓰려고 닦아 놓은 마당.


아랫마을 (아래+마을) [아마을]: 아래쪽에 있는 마을.


뒷머리 (뒤+머리) [ː머리]: 머리의 뒷부분(뒤통수).


잇몸 (이+몸) [몸]: 이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살.


깻묵 (깨+묵) [묵]: 기름을 짜고 남은 깨의 찌꺼기.


냇물 (내+물) [ː물]: 내에 흐르는 물.


빗물 (비+물) [물]: 비가 와서 고이거나 모인 물.
    


(3)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‘ㄴㄴ’ 소리가 덧나는 것

도리깻열 (도리깨+열) [도리깬녈]: 도리깨의 한 부분.


도리깨: 곡식의 낟알을 떠는 데 쓰는 농구.

열: 도리깨나 채찍 따위의 끝에 달려 있는 회초리나 끈을 통틀어 이르는 말.

뒷윷 (뒤+윷) [ː]: 윷판에서 뒷밭의 네 번째 자리.


두렛일 (두레+일) [두렌닐]: 여러 사람이 두레를 짜서 함께 하는 농사일.


뒷일 (뒤+일) [ː]: 어떤 일이 있은 뒤에 생기거나 일어날 일.


뒷입맛 (뒤+입맛) [ː맏]: 음식을 먹고 난 뒤에 입에서 느끼는 맛.


베갯잇 (베개+잇) [베갠닏]:베개의 겉을 덧씌워 시치는 헝겊.


베개: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.

잇[읻]: 이부자리나 베개 따위의 거죽을 싸는 천.

욧잇 (요+잇) [욘닏]: 요의 몸에 닿는 쪽에 시치는 흰 헝겊.


요: 침구의 하나. 사람이 앉거나 누울 때 바닥에 깐다.

잇[읻]: 이부자리나 베개 따위의 거죽을 싸는 천.

깻잎 (깨+잎) [깬닙]: 들깨잎과 참갯잎을 통틀어 이르는 말.


나뭇잎 (나무+잎) [나문닙]: 나무의 잎.


댓잎 (대+잎) [댄닙]: 대나무의 잎.




2.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. (순우리말 + 한자어) / (한자어 + 순우리말)


(1)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


귓병 (+병:病) [귀/귇]: 귀를 앓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.

머릿방 (머리+방:房) [머리/머릳]: 안방 뒤에 딸린 작은 방.

뱃병 (+병:病) [배/밷]: 배를 앓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.

봇둑 (보:洑+) [보/볻]: 보를 둘러 쌓은 둑.

사잣밥 (사자:使者+) [사ː자/사ː잗]: 초상난 집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부를 때 저승사자에게 대접하는 밥.

샛강 (+강:江) [새ː/샏ː]: 큰 강의 줄기에서 한 줄기가 갈려 나가 중간에 섬을 이루고, 하류에 가서는 다시 본래의 큰 강에 합쳐지는 강.

'사이' 준말 →'': 한곳에서 다른 곳까지, 또는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까지의 거리나 공간.

아랫방 (아래+방:房) [아래/아랟]: 이어져 있는 두 방 가운데 아래쪽 방.

자릿세 (자리+세:貰) [자리/자릳]: 터나 자리를 빌려 쓰는 대가로 주는 돈이나 물품.


전셋집 (전세:傳貰+) [전세/전섿]: 전세로 빌려 쓰는 집.

찻잔 (+잔:盞) [차/찯]: 차를 따라 마시는 잔.

찻종 (+종:鍾) [차/찯]: 차를 따라 마시는 종지.

촛국 (초:醋+) [초/촏]: 초(식초)를 친 냉국.


콧병 (+병:病) [코/콛]: 코에 생기는 병.

탯줄 (태:胎+) [태/탣]: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는 관.

텃세 (+세:貰) [터/턷]: 터를 빌려 쓰고 내는 세. (貰: 세낼 세)


텃세 (+세:勢) [터/턷]: 먼저 자리를 잡은 사람이 뒤에 들어오는 사람에 대하여 가지는 특권 의식. (勢: 형세 세)


핏기 (+기:氣) [피/핃]: 사람의 피부에 감도는 불그스레한 피의 기운.

햇수 (+수:數) [해/핻]: 해의 수.

횟가루 (회:灰+가루) [회루/휃루]: ‘산화 칼슘’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.

횟배 (회:蛔+) [회/휃]: 회충으로 인한 배앓이.



(2) 뒷말의 첫소리 ‘ㄴ, ㅁ’ 앞에서 ‘ㄴ’ 소리가 덧나는 것

곗날 (계:契+) [ː날/ː날]: 계의 구성원이 모여 결산을 하기로 정한 날.


제삿날 (제사:祭祀+) [제ː날]: 제사를 지내는 날.


훗날 (후:後+) [ː날]: 시간이 지나 뒤에 올 날.


툇마루 (퇴:退+마루) [ː마루/ː마루]: 툇간에 놓은 마루.


양칫물 (양치:養齒+) [양물]: 양치할 때에 쓰는 물.


(3)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‘ㄴㄴ’ 소리가 덧나는 것


가욋일 (가외:加外+) [가왼닐/가웬닐]: 필요 밖의 일.


사삿일 (사사:私私+) [사산닐]: 개인의 사사로운 일.


사사(私事): 사삿일.

예삿일 (예사:例事+) [예ː산닐]: 보통 흔히 있는 일.

훗일 (후:後+) [ː]: 어떤 일이 있은 뒤에 생기거나 일어날 일.

    


3.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(6개)

곳간(庫間) [고깐/곧깐]: 물건을 간진하여 두는 곳.


셋방(貰房) [세ː빵/섿ː빵]: 세를 내고 빌려 쓰는 방.

숫자(數字) [수ː짜/숟ː짜]: 수를 나타내는 글자.

찻간(車間) [차깐/찯깐]: 기차나 버스 따위에서 사람이 타는 칸.

툇간(退間) [퇴ː깐/퉫ː깐]: 안둘렛간 밖에다 딴 기둥을 세워 만든 칸살.

안둘렛간 [안둘레깐/안둘렏깐]: 벽이나 기둥을 겹으로 두른 건물의 안쪽 둘레에 세운 칸.

횟수(回數) [회쑤/휃쑤]: 돌아오는 차례의 수효.




정말 먹고 싶었던, 아 기다리고~ 고 기다리던~ 싸이버거를 드디어 싸이버거를 먹었다. ^^


내년에 한국에 가면 다시 먹어야지. 언제 다시 한국으로 갈는지는 모르겠지만.
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